교과목소개
컴퓨터정보과 교과목소개
컴퓨터정보과 교과목소개에 대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.
연번 | 이수구분 | NCS | 교과목 | 교과목 개요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국문 | 영문 | |||||
1 | 교양 | √ | 생활과 컴퓨터 | Life and Computer | 컴퓨터 관련이론을 이해하여 컴퓨터를 활용하는 능력과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적절히 활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. | |
2 | 전공 | 전산학개론 |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|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기본지식과 현재와 미래의 컴퓨터 기술에 대한 개론 | ||
3 | 전공 | 자료구조 | Data Structure | IT 부문의 기본역랑 및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양성과 기억공간 내에서 자료를 표현하고 저장하는 다양한 방법들과 자료간의 관계를 습득함 | ||
4 | 전공 | √ | 논리회로 | Logic Circuit | 논리기호를 이용하여 회로도를 작성하고 설계하기 위한 논리소자의 특성파악, 논리식과 논리회로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을 함양 | |
5 | 전공 | √ | 창의개발프로그래밍 | Creative Development Programming |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문제를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컴퓨터로 프로그램화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 | |
6 | 전공 | √ | HTML5 | HTML5 | 웹 프로그램의 기본 언어인 HTML의 등장 배경과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고 웹 문서 작성에 필요한 태그와 스타일 시트 그리고 자바 스크립트에 대해 학습한다. | |
7 | 전공 | √ | 정보통신 | Introduction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| 제어 목적에 적합한 제어회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회로의 논리를 이해하여 논리소자의 특성파악과 논리회로의 조합 및 제어순서의 전개 등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한다. | |
8 | 전공 | 컴퓨터구조 | Computer Architecture | 컴퓨터의 발달과정부터 컴퓨터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본구조와 동작, 중앙처리장치, 기억장치, 보조기억장치, 버스와 입출력, 주변장치등에 대해 학습 | ||
9 | 전공 | 시스템분석 | System Analysis |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현업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조사, 분석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위해 설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학문 | ||
10 | 전공 | √ | DB | DB | 정보화 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분석, 설계 작업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술 수립을 목표 | |
11 | 전공 | √ | 알고리즘 | Algorithm | 다양한 형태의 알고리즘을 살펴봄으로써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며, 좋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 | |
12 | 전공 | √ | 웹프로그래밍 | Web Programming | HTML, 자바스크립트,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PHP, ASP, JSP와 같은 웹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 대해 교육한다. | |
13 | 전공 | 운영체제 | Operating System | 자원관리자 관점에서 자원관리 각 분야에 대해 각종 알고리즘의 개념을 이해하며 각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 | ||
14 | 전공 | 멀티미디어 | Introduction to Multimedia | IT 부문의 기본역랑 및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양성과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의 활용과 내용 이외의 폭 넓은 정보를 습득 | ||
15 | 전공 | √ | 어플리케이션 구현 | Application Implementation |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관련된 개발환경 구축,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운영에 대해 교육한다. | |
16 | 전공 | √ | UI설계및구현 | UI Design and Implementation | 웹사이트 구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의 각종 콘텐츠 개발을 위해 가장 중요한 UI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이론과 실습을 통해서 학습한다. | |
17 | 전공 | √ | 콘텐츠개발및구현 | Content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| 콘텐츠 개발 환경 플랫폼 및 서비스 대상 플랫폼을 구축하고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함으로서 서비스 콘텐츠 개발 시 사용자 편리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능력을 함양 | |
18 | 전공 | √ | 네트워크구축 | Network Deployment |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토폴로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환경을 분석하고 설계하여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학습한다. | |
19 | 전공 | √ | IOT 및 임베디드활용 | IOT and Embedded Application | 현장에서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기술 스펙 검토, 개발환경 구축, 프로그래밍, 버전 관리 등을 수행 대한 교육내용을 구성한다. | |
20 | 전공 | 운영체제활용 |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| 개인용 컴퓨터에서 대형 컴퓨터까지 다양한 컴퓨터에서 운영되는 운영체제인 리눅스의 기본적인 명령의 사용 방법을 익히는 교과목 | ||
21 | 전공 | 정보보안 | Information Security | 시스템운영 분야에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보자산 및 위험 관리하기, 물리적 보안 운용하기, 시스템 보안 운용하기, 사내보안 관리하기를 통해 정보 보안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 | ||
22 | 전공 | √ | ICT창업기술전략 | ICT Startup Technology Strategy | ICT 창업기술에 부합하는 ICT관련 최신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정보기술 전략을 기획하고 정보기술 환경분석을 통해 R&D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능력을 얻도록 한다. | |
23 | 전공 | √ | 캡스톤디자인 | Capstone Design | 개발 SW제품의 구현, 기능적/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단위 기능별로 분류하고 일정/예산/투입인력/품질관리 방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. |